대한불교 조계종
-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 - 전북 김제일상 2025. 7. 1. 15:40
#. 전북 김제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 1. 모악산 자락에 자리한 천년고찰, 금산사전북 김제의 대표적인 명산 모악산(母岳山).그 산자락 깊은 곳에, 천년 세월을 간직한 고찰 금산사(金山寺)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금빛 산사(山寺)라는 이름처럼, 조용하고 묵직한 품격이 느껴지는 이곳은단순한 사찰이 아니라 역사와 예술, 신앙이 살아있는 문화재의 보고입니다.2. 금산사의 중심, 아름다운 3층 목조건물 미륵전국내 유일의 3층 목조건물 전각높이 11.82m, 내부 불상의 높이는 무려 8.8m미륵불이 중심에 모셔진 우리나라 3대 미륵전 중 하나미륵전은 599년 백제 법왕 때 처음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이후 통일신라 진표율사에 의해 중창된 유서 깊은 전각입니다.3. 구조적 특징 – 외형은 3층, 내부는 통층..
-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月精寺) ㅡ 강원 평창일상 2024. 8. 3. 16:01
#. 강원 평창 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 월정사를 품고 있는 오대산은 문수보살의 성산이라고 합니다. 오대산 맑은 계곡 따라 전마무 숲길 걷다보면 월정사 도량이 품에 들어 옵니다. 문수 성지 오대산에는 사방과 중앙에 다석 대가 있습니다. 대마다 암자가 있느니 동대산-관음암, 두로봉-지장암, 상왕봉-수정암, 비로봉-미륵암, 호령봉-사자암입니다.#. 월정사는 대웅전이 아니고 적광전적광전(寂光澱)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불로 모신 전각이다. 백두대간의 심장부인 만월산을 진산으로 한 월정사의 가장 중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근대에 신축된 법당 중 가장 으뜸으로 꼽힌다. 원래 이 자리에는 일곱 분의 부처님을 모신 칠불보전(七佛寶殿)이 있었으나 6. 25전쟁 때 여타 전각과..
-
대한불교 조계종 25교구를 통한 전국 여행일상 2024. 3. 8. 11:15
#. 전국에 대한불교 조계종에서 관리하는 25교구를 아시나요?대한불교 조계종은 전국의 사찰을 25교구의 본사를 통해서 관리하고 있다고 합니다. 각본사 산하에는 말사 수백 개를 두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우리나라를 여행하면서 각 지방에 있는 조계종 사찰을 방문하면서 사찰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도 알고 방문하고자 정리하려 합니다. 전국 여행을 하는 단순한 여행 방법입니다.25교구의 모든 사찰을 다녀와서 각 사찰의 특징에 대한 것을 정리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제6교구 마곡사(麻谷寺) ㅡ 충남 공주(2023.5.7 방문)2023.05.08 - [일상] -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 마곡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 마곡사#. 대한불교 조계종 25 교구 : 첫 ..
-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전남 순천)일상 2024. 3. 7. 21:30
#. 전남 순천 조계산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 송광사는 7대 총림의 하나인 조계총림이 있으며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다. 고승을 가장 많이 배출한 승보사찰로 배출한 고승으로 1대 보조국사 지눌, 2대 진각국사 혜심, 3대 청진국사 몽여, 4대 진명국사 홍원, 5대 원오국사 천영, 6대 원감국사 충지, 7대 자정국사 , 8대 자각국사, 9대 담당국사, 10대 혜감국사 만항, 11대 자원국사, 12대 혜각국사, 13대 각진국사 복구, 14대 정혜국사, 15대 흥진국사, 16대 고봉국사 법장 등이다. #. 송광사의 대웅보전 대웅보전의 현판은 2x2형식으로 우상부터 우하, 좌상, 좌하로 작성되어 있으며 보물 1호인 동대문에 흥인지문이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작성의 시기와 의미가 유사할..
-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속리산 보은)일상 2024. 3. 5. 22:15
#. 보은에 있는 속리산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 법주사는 원래는 속리사였는데 의신조사가 천축으로 구법여행을 떠나다가 흰 나귀가 불경을 싣고 돌아와서 머물렀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절'이라는 뜻으로 법주사라 이름 지었다고 합니다. 국보와 보물이 많기로는 해인사에 다음으로 많은 법주사는 속리산 국립공원에 있어 주차장에서 경내까지 20분정도 걷는 길은 지루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목탑건물인 팔상전과 국내 최대 높이의 청동미륵대불이 법주사의 웅장함을 보여줍니다. 대웅보전의 3개의 불상 중 석가보니불상이 중앙이 아닌 것에 법주사의 큰 뜻을 다시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 대한불교 조계종 법주사의 문화재 국보 3점 : 쌍사자석등(제5호), 팔상전(제55호), 석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