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TSMC와 한국 기업, 무엇이 다른가? 주 52시간 근무제
    일상 2024. 11. 21. 12:44
    반응형

    한국 기업의 경쟁력, 무엇이 필요한가?

    최근 한국의 주 52시간 근무제와 글로벌 경쟁력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첨단 기술과 고강도 업무가 필수인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대만의 TSMC 사례를 중심으로 주 52시간 근무제가 가져오는 한계와 이를 극복할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TSMC와 한국 기업, 무엇이 다른가?

    1. TSMC의 성공 전략

    대만의 반도체 거대 기업 TSMC는 업무 강도가 높아 직원 불만을 겪었지만, 이를 복지 혜택 강화와 고급 인재 유치를 통해 극복했습니다. 특히 TSMC는 철저한 기준을 세워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인재를 배제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크 리우 TSMC 회장은 “열정이 없고 장시간 근무를 할 의지가 없는 사람들은 반도체 산업에 적합하지 않다”고 강조하며 애리조나 공장 가동을 연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장기적인 목표를 우선시했습니다.

    2. 한국의 현실: 주 52시간 근무제의 딜레마

    한국은 주 52시간 근무제가 법제화되면서 연구개발(R&D) 등 고도 전문직조차 초과근무가 어려운 환경입니다. 이는 TSMC와 같은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고강도 작업이 필수적이지만, 현행 규제는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3. 해외 사례: 일본과 미국의 유연한 근로시간 정책

    미국은 고소득 전문직에 대해 근로시간 규제를 적용하지 않으며, 일본 역시 노사 간 합의를 통해 초과근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유연한 정책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형 근로시간 유연화가 필요한 이유

    반도체 산업과 같은 첨단 기술 분야는 장시간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춘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제도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노동 시간의 연장을 넘어, 고급 인재를 유치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필수 조건입니다.

     

    한국의 주 52시간 근무제가 장기적으로는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이 함께 유연한 근로 환경을 구축해야 할 시점입니다.

    주52시간 근무제

    728x90
Designed by Tistory.